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리더십_조직 변화관리와 슈퍼 리더십

by 아기맹슈 2023. 2. 17.
반응형

1. 조직 변화관리

[개구리 증후군]

점진적 변화에 대처하지 못하고 망한 기업을 삶아진 개구리 증후군으로 비유함.

변화와 대응: 창조적 긴장?

 

 

변화의 발전과정

모든 생명체는 탄생>> 성장>> 노쇠>> 사망의 단계를 거친다.

성장단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S자 모양으로 나타난다.

 

[변화관리 6단계]

  1. 변화의 크기와 내용 >> 위험, 초점
  2. 사용할 수 있는 시간 >> 졸속, 계획
  3. 실행과정의 전술 >> 부분, 전면적
  4. 책임의 소재 >> 책임감 분산, 분명
  5. 변화저항 극복 >>  은밀한 저항, 비전
  6. 감시 >>  방관, 과정과 결과 중요

변화 속성: 나무도 스스로 변함!!

변화란 손잡이가 안에 있는 문이다. 따라서 자신이 열지 않으면 절대 열리지 않는다.

나 자신이 변해야 세상이 보일 것이다 자신이 변화를 주도하지 않으면 변화가 나 자신을 주도할 것이다.

 

우리를 둘러싼 환경은 지금도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키워드

‘3C'-Customer(고객)・ Competition(경쟁)・ Change(변화)

 

2. 슈퍼 리더십

수퍼 리더십이란 권한과 명령을 통해서가 아니라. 부하들이 자신을 스스로 이끌어 가도록 하여 리더십에서 탁월한 우월성을 추구하도록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영웅을 만들어 내는 사람이 더 영웅이다.’

 

슈퍼 리더십은?

  • 구성원이 셀프리더가 되도록 만들고, 지원하고 자극하는 사람
  • 구성원에게 자율성과 책임 부여
  • 모델링과 참여유도, 셀프 리더십의 점진적 개발
  • 인정과 격려

“자기 밑에 뛰어난 인재가 없다고 말하는 관리자는 무능한 관리자이다.

성공적인 관리자가 되기 위해서는 평범한 사람을 인재로 키울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슈퍼리더십의 요체”이다.

슈퍼리더십은 부하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부하의 능력개발 및 이를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리더의 행위를 강조한다. 급속히 글로벌화되는 기업환경에서 경쟁이 격화되는 기업은 인적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여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 부담이 있다. 급격한 변화 속에서 구성원 스스로가 변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했다.

진정한 리더십은 외부로부터가 아니라 구성원 내부에서 구성원들 스스로가 자율적, 효과적으로 의사결정으로 잠재력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리더의 중요한 역할이 되었다.  평범한 수준의 부하가 스스로를 통제할 수 있는 자율 리더십을 갖추도록 하여 자율 리더로 개발하는 리더십을 말한다. 자율 및 슈퍼 리더십은 1991년 Manz & Sims 에 의해 개념과 이론이 체계화되었다. 자율능력을 갖춘 부하는 자율 리더이고, 그렇게 변환시키는 방법 및 과정이 임파워먼트다.

리더의 강점은 다른 사람들의 셀프 리더십을 촉진하는 능력으로 측정되어야지, 리더의 생각에 따르도록 다른 사람의 의지를 굽히는 능력으로 평가하지 않는다. 누군가 다른 사람을 리드하기를 원한다면 우선 자기 자신부터 리드해야 한다.

가장 훌륭한 리더는 사람들을 도와 그들이 더 이상 리더 가 필요하지 않게 하는 수준에 이르게 하는 사람이다.

 

[슈퍼 리더십의 특징]

  • 사람에게는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잠재능력이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잠재능력을 이끌어내고 개발하는 리더십이다.
  • 구성원들 누구나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낙관주의에서 출발한다.
  • 슈퍼 리더십의 주된 목적은 셀프리더십 역량이나 잠재력을 자극하고 촉진하는 것이다.
  • 리더가 부하들을 고성과를 내는 사람으로 개발하고 싶다면, 그들을 임파워먼트시켜 자발적인 몰입과 책임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 수퍼리더십은 부하들의 기술, 자신감, 특히 지식과 정보를 갖도록 하여 임파워먼트시키는데 초점을 맞춘 전략이다.

Self-leader

  - 역할모델

  - 학습과 자기개발로 전문적 권력 확보(인정과 신뢰)

부하의 self-leader 화

  - 스스로의 목표 설정 장려

  - 긍정적인 사고패턴 창출

  - 적절한 보상과 발전적인 질책

자율적 경영 체제로 전환

  - 팀웍을 통해 셀프리더십 촉진

  - 셀프 리더십 문화 정착

 

[슈퍼 리더십의 주요 실천방안]

  1. 듣기는 많이 하고 말은 적게 한다.
  2. 의문은 많이 제기하고 가능한 해답은 줄인다.
  3. 일의 결과를 두려워하지 않고 실패에서 학습을 배우게 한다.
  4. 정보를 공유한다.
  5. 창의력 발휘 분위기를 조성한다.
  6. 팀워크를 통해 협력성을 기른다.
  7. 독립성과 상호의존을 조장한다.
  8. 순응하는 부하가 아니라 헌신하는 셀프리더를 개발한다.
  9. 전체조직에 자율적 관리문화를 구축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