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리더십_리더십 상황이론, 상황이론의 특징

by 아기맹슈 2023. 2. 8.
반응형

1. 리더십 상황이론

리더십 상황이론: 리더가 처한 상황 중시

리더는 상황의 산물이기 때문에 리더십의 효과성과 유효성을 상황과 연계시키고자 등장한 것

행동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에 이르면서 리더십 연구에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개발된 이론

  • 상황적합이론
  • 경로 - 목표이론

그 동안 리더십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리더의 특성, 리더의 행동에 대해 연구했다.

그러나 리더의 행동은 상황요인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상황이론은 리더의 어떤 행동유형이 어떤 상황에서 더욱 효과적인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황요인은 크게 부하(팔로어)와 과업의 특성 등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증가에 있다.

 

1. 피들러의 상황적합 리더십

피들러에 의해 최초 제시

조직에 대한 리더의 영향력의 세가지 변수

리더와 구성원과의 관계

구성원 직무의 과업구조

리더의 영향력

높은 직무성과를 성취하는 리더십의 상황적 속성에 직접 주목하여 리더십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있는 설명모델로서 리더십 연구의 기폭제 역할을 한 공헌을 인정받고 있다.

상황을 고려한 최초의 리더십이론으로 피들러는 과업의 성공적 수행은 이를 이끌어 나가는 리더십의 스타일과 과업이 수행되는 상황의 호의성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피들러는 리더십 스타일을 과업지향형과 관계지향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리더가 접하는 환경과 상황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한다.



리더-부하관계



좋음


좋음


좋음


좋음


나쁨


나쁨


나쁨


나쁨


과업구조화


높다


높다


낮다


낮다


높다


높다


낮다


낮다


리더의 직위 권한
















 

2.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적 리더십

실무에서는 큰 인기를 누리면서도 학계로부터 변 관심을 끌지 못했던 Hersey & Blanchard의 이론은 하급자가 성숙한 정도에 따라 리더십 스타일을 달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론이다.

R1 : 능력 낮음 의지 낮음  지시형 리더십(고과업 - 저관계)

의사소통의 초점이 목표달성 겨냥 리더는 구성원들에게 목표 지시 감독, 신입, 초임 장교 등..

 

R2 : 능력 낮음 의지 높음  설득형 리더십(고과업 - 고관계)

의사소통의 초점을 목표달성과 정서적 지원 양쪽에 겨냥,

리더가 내린 결정을 설명해주고, 부하들이 그 결정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

 

R3 : 능력 높음 의지 낮음  참여형 리더십(저과업 - 고관계)

의사결정과정에 부하를 참여시켜 동기를 유발시키고 아이디어와 정보를 공유, 코칭을 통해 자신감 고취, 인정과 칭찬으로 의욕을 향상시킨다.

 

R4 : 능력 높음 의지 높음  위임형 리더십(저과업 - 저관계)

리더는 계획하고, 통제하는 활동을 줄이고, 업무방향이 결정되면 그 직무의 수행의 결정과 책임을 부하에게 위임, 일상적인 업무는 스스로 하게 맡기고 중요사안만 지원한다.

R4 R3 R2 R1
능력:높음
의지:높음
능력:높음
의지:낮음
능력:낮음
의지:높음
능력:낮음
의지:낮음

허시와 브랜차드의 상황적 리더십 이론은 행동론적 관점에서 리더의 행동을 유형화하고, 리더는 상황에 따라 상이한 리더십 유형을 적용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리더십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상황변수로 부하의 성숙도 또는 준비 정도를 설정하고, 부하의 성숙도에 따라 상이한 리더십 유형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3. 하우스의 목표-경로 이론

 

2. 상황이론의 특징

첫째. 조직을 설계하거나 그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는 유일한 '최선의 방법'이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바꾸어 말하면, 조직은 그것이 처해 있는 시대나 지역[외부환경]에 따라 제각기 다르기 때문에 조직에 대한 이해나 문제의 해결은 상황적 요인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뜻이다.

 

둘째. 조직이 내세운 의도와는 다른 결과일지라도 객관적인 결과이면 그것을 더 중요시한다. 그것은 어떤 환경에 조직이 직면하였을 때 어떤 특성을 가져야만 효과성을 높일 수 있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조직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이 어떠한 특성을 갖추어야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으므로 조직설계에 지침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넷째. 조직의 설계는 환경적 상황에 따라 결정하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를 쉽게 말하면 동질적이고 안정된 사회환경 아래에서는 형식화되고 계층적인 조직이 적합하겠으나 다원화(다원주의)되고 변동하는 사회환경 아래에서는 형식화가 덜 되고 가능한 한 수평적이고 동태적인 조직이 적합하다는 것이다.

반응형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