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리더십_리더십, 리더는 어떤 사람?

by 아기맹슈 2023. 2. 7.
반응형

1. 리더십

리더의 존재는 구성원들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조직의 외부에 성과를 내다

 

리더십에서 피해야 할 리더십, 말! 말! 말!

 

‘하지만’, ‘안돼’같은 부정적인 말이다.  내 생각이 옳다고 강요하지 말고

꼭 해야 된다고 말하지 말자 환경을 변화시킬 수 없다면  나 자신을 변화시킨다.

리더들이 가장 흔하게 저지르는 실수는 ‘지나친 자기 확신’과 ‘자기 중심적 태도’다.

대부분의 리더들은 주변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관심이 없다.

이때 구성원들은 비위를 맞추면서도 뒤에서는 험담한다.

리더의 자리에 있으면 이기는 대화가 아닌 지는 대화를 해야 한다.

 

집단의 목표나 내부 구조의 유지를 위하여 성원(成員)이 자발적으로 집단활동에 참여하여 이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는 능력.

  • 목표(목적)설정
  • 조직의 재편성
  • 동기(활력)부여
  • 목표 구현을 위한 수단 동원

리더는 혼자 존재할 수 없다. 아무도 따르는 사람(follower)이 없다면 리더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더는 항상 '따르는 사람들'의 존재를 존중해야 한다.

리더에게는 권력이 있다. 권력은 다른 사람을 자기 뜻대로 움직일 수 있는 힘이다. 대체로 권력의 기반은 여섯 가지로 구분
권력의 첫째 기반은 상대가 원하는 것을 줄 수 있는 능력, 즉 '보상'이다. 둘째로는 상대가 싫어하는 것을 강제할 수 있는 능력, 즉 '처벌'이다. 사람들은 보상을 얻기 위해, 그리고 처벌을 피하기 위해 리더를 따른다. 권력의 셋째 기반은 '합법성'이다. 합법성을 부여받으면 사람들은 그를 따르게 된다.
넷째로, 상대가 리더를 좋아하거나 매력을 느끼거나 존경한다면, 그 리더는 '참조성'에 기반을 둔 권력을 갖게됨.

다섯째 권력 기반은 '전문성'이다. 어떤 영역의 전문성이 있다고 생각되면 사람들은 그 전문가의 말을 따른다. 

섯 가지 권력의 기반 중 몇 가지를 함께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교수님이 학점을 잘 줄 수도 있고(보상), 낙제시킬 수도 있고(처벌), 해당 강의를 할 수 있는 합법성을 부여받았고, 해당 영역에 전문성과 정보성을 지니고 있으며, 학생들이 그 교수를 좋아하기까지 한다면(참조성), 그 교수는 여섯 가지 권력기반을 모두 지니고 있는 셈이 된다. 당연히 권력 기반이 여럿 있을수록 힘은 강해진다. 전통적으로 '외향성, 조화성, 성실성, 안정성, 지능'을 갖춘 사람이 리더가 된다고 생각한다. 예전에는 이처럼 리더의 성향이 따로 있다고 생각했으나, 요즘은 상황에 따라, 시대의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리더가 달라지고 있다. 예전에 힘과 하드웨어에 의존하던 세상이 점차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변해 가면서, 근래에는 부드러운 리더십, 수평적 리더십, 따뜻한 리더십, 힐링리더십 등이 각광을 받으며 '바람직한 리더'의 이미지가 호감을 주는 여성상에 조금씩 근접해 가고 있다. 물론 이러한 현상도 일시적일 수는 있지만, 미디어의 발달로 중앙집권적인 소통형태가 약해지고 다원적 소통형태로 변화해 가면서, 여성적인 소통 방식이 구성원을 배려하는 관계지향 리더십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2. 리더는 어떤 사람?

1. 모든 사람에게 있는 리더의 잠재력

ex) 동아리 임원, 아이 부모, 자원봉사, 영양사. .

2. 환경에 의해 만들어진다

앨리노어 루즈벨트 (프랭클린 루즈벨트의 부인)

마리퀴리-폴란드 침공-대학입학 거절(여성)-프랑스유학-여성과학자

3. 리더십은 책임지는 것

 

리더십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국가나 기업의 성공과 실패는 리더십에 의해 좌우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리더가 되기를 원한다면 반드시 지켜야 할 명확한 것들은 시간을 초월하여 능력을 길러야 한다.

 

잰더(Janda): 리더십이란 특정한 유형의 권력관계를 말하는데, 자신의 행동 패턴을 규정해 주는 권리를 또 다른 구성원이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게 된다.

제이콥스(Jacobs): A와 B라는 사람이 상호작용을 할 때, B라는 사람의 생각에 A라는 사람이 제시하거나 바라는 바에 맞추어 행동을 할 경우 자신이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A라는 사람이 정보를 제공하고 행동하는 상호 작용 방식이다.

스토질(Stogdill): 사람들이 기대하고 상호작용을 하는 데 대해 구조를 만들어내고 유지시키는 것이다.

카츠와 칸(Katz & Kahn): 조직 내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지시에 하위자가 기계적 으로 따르는 것 이상의 초과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다.

헴필과 쿤즈(Hemphill & Coons): 한 집단의 활동을 공유된 목적으로 인도하는 특정한 개인의 행동이다.

로크(Locke):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과정이다.

로스트(Rost): 자신들이 공유하고 있는 목적이 반영된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려는 의도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리더와 추종자들간의 영향력 행사 관계이다.

로드와 마허(Lord & Maher): 리더십이란 다른 사람들에게 리더로 인식되는 과정이다.

 

특성 이론 : 리더에 초점을 맞추어 성공적인 리더와 그렇지 못한 리더, 리더인 사람과 리더가 아닌 사람을 구분시켜 주는 특성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둔다.

 

행동 이론 : 리더와 추종자들 간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추종자에게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거나 집단이나 조직의 유효성을 높이는 리더의 행동 스타일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는데 집중한다.

 

상황 이론 : 리더와 추종자들 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들을 규명하거나 리더가 지닌 특성이나 리더가 행하는 행동이 추종자들의 태도나 행동 또는 집단이나 조직의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황적인 요인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연구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