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학13

경제학_경제학에서 사용하는 단어(수요와 공급, 탄력성) 1. 수요 수요란 경제 주체가 특정 상품에 대해 사고자 하는 의지와 실제로 살 수 있는 구매 능력을 갖춘 욕구를 말한다. 그러나 가격이 오르게 되면 수요 계획을 줄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상품을 구입할 때 가격과 가격 이외의 요인으로 소득 수준, 기호, 다른 재화의 가격을 고려한다. 사람들이 상품을 구입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많지만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구입 하고자 하는 상품의 가격이다. 사람들은 보통 상품 가격이 오르면 전보다 그 상품을 적게 구입하려 하고, 반면에 가격이 떨어지면 전보다 더 많이 구입 하고자 한다. 가격 외의 요인, 즉 소득이나 기호 등 다른 요인들은 일정할때, 상품 가격과 시장 수요량 사이에는 역의 관계가 성립하는데, 이를 수요 법칙이라고 한다. 한편 소득이 늘어나.. 2023. 1. 30.
경제학_경제학에서 사용하는 단어(국민총생산, 국내총생산) 1. 국내총생산(GDP) 뉴스를 읽다보면 국내총생산 혹은 GDP라는 단어를 많이 보았을것이다. 외국인이든 우리나라 사람이든 국적을 불문하고 우리나라 국경 내에서 이루어진 생산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국내총생산'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의 생활 수준이나 경제성장률을 분석할 때 사용되는 지표.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의 국경 안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생산물의 시장가치로, 한 국가의 경제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외국인이든 우리나라 사람이든 국적을 불문하고 우리나라 국경 내에서 이루어진 생산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GDP는 한 국가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활동에 참여하여 창출한 부가가치 또는 최종 생산물을 시장가격.. 2023. 1. 30.
경제학_경제학에서 사용하는 단어(기회비용, 빅맥지수) 1. 기회비용 어떤 선택으로 인해 포기된 기회들 가운데 가장 큰 가치를 갖는 기회 자체 또는 그러한 기회가 갖는 가치. 시간, 돈, 능력 등 주어진 자원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인간은 다양한 기회 모두를 선택할 수 없다. 어떤 기회의 선택은 곧 나머지 기회들에 대한 포기를 의미한다. 1914년 오스트리아 경제학자 프리드리히 폰 비저가 《사회경제이론》에서 처음으로 ‘기회비용’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그 이전에도 벤자민 프랭클린이나 프레데릭 바스티아 등이 초보적 수준에서 기회비용의 개념을 소개한 바 있다. 1850년 프랑스 경제학자 프레데릭 바스티아는 자신의 에세이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서 ‘깨진 유리창 우화’를 통해 기회비용을 우회적으로 다루고자 했다. 어느 가게 주인의 아들이 유리창을 깨자, 아버.. 2023. 1. 30.
경제학_경제대공황, 대공황의 원인 및 영향 1. 경제대공황 1929년의 대공황 또는 1929년의 슬럼프라고도 한다. 1929년 10월 24일 뉴욕 월가의 ‘뉴욕주식거래소’에서 주가가 대폭락한 데서 발단된 공황은 가장 전형적인 세계공황으로서 1933년 말까지 거의 모든 자본주의 국가들이 여기에 말려들었으며, 여파는 1939년까지 이어졌다. 이 공황은 파급범위 ·지속기간 ·격심한 점 등에서 그 때까지의 어떤 공황보다도 두드러진 것으로 대공황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것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 후의 미국은 표면적으로는 경제적 번영을 누리고 있는 것처럼 보였지만, 그 배후에는 만성적인 과잉생산과 실업자의 문제가 현재화되고 있었다. 이런 배경 때문에 10월의 주가 대폭락은 경제적 연쇄를 통하여 각 부문에 급속도로 파급되어, 체화의 격증, 제반 물가의 폭락, 생.. 2023. 1.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