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

청년정책_청년정책 어디가면 볼 수 있을까? 1. 청년정책 어디가면 볼 수 있을까? 대한민국 청년들은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다양한 혜택을 지원/신청 후 이용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디로 가서 신청하고, 청년정책들을 어디에서 볼 수 있는지 궁금할 것이다. 시대가 시대인만큼 모든 정책들은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청년정책이라고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지자체마다 청년의 범주(나이제한)등도 다르고, 지역마다 실시하는 청년정책의 종류도 다르며, 지원 대상에 대한 정책내용도 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가 사는 지역 내의 청년 정책들은 다시 일일이 찾아봐야 한다는 번거로움과 수고로움이 동반하게 된다. - 청년포털(청년포털 (2030.go.kr)) - 각 지자체 도청 및 시청 홈페이지 - https://opcl.kr/ 열고.. 2023. 2. 1.
청년정책_청년정책 필요성, 역차별 1. 청년정책 필요성 필자도 청년이다! 꿈이 많았던 20대 초중반을 지나 그냥 그저 그렇게 살아가는 20대 후반에 들어섰다. 대한민국 국민이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한 적이 많았다. 그러나 이리저리 갈대처럼 흔들리는 나를 포함한 대다수의 청년들을 보고 있자면, 차라리 '고양이' '강아지'로 태어났으면 어떠할까? 라는 생각을 자주 하게되는게 지금의 청년들인 것 같다. 인생에서 가장 고민이 많은 20대, 불안한 미래와 외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청년에게, "아프니까 청춘이다. 청년아 응원한다. 마음 굳세게 먹고 일어서야죠."라는 말이 힘이 될까? 청년에게 문제없다는 듯이 힘내라고 격려하기에는 청년이 처한 삶의 현실은 심각하다. 기업이 채용을 안 하거나 규모를 줄이니 청년이 일할 기회가 없어지고, 지옥고(지하실, .. 2023. 2. 1.
경제학_행동경제학, 닻내림 효과, 프레이밍 효과, 경제심리학 1. 행동경제학 인간의 실제 행동을 심리학, 사회학, 생리학적 견지에서 바라보고 그로 인한 결과를 규명하려는 경제학의 한 분야. 행동경제학은 주류경제학의 ‘합리적인 인간’을 부정하는 데서 시작하지만, 그렇다고 인간을 비합리적 존재로 단정 짓는 것은 아니다. 다만 온전히 합리적이라는 주장을 부정하고, 이를 증명하려는 것이 행동경제학의 입장이다. 경제주체들이 제한적으로 합리적이며 때론 감정적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함. 어떤 대상을 소유하거나 소유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순간 그 대상에 대한 애착이 생겨 객관적인 가치 이상을 부여하는 '보유효과'를 비롯 `손실회피성', `쌍곡형 할인', `닻내림효과', `심리적 회계', `프레이밍효과' 등이 행동경제학의 주요 용어다. 이미 카너먼을 비롯한 여러 학자가 .. 2023. 1. 31.
경제학_거품경제(버블경제) 일본을 따라가는 한국? 1. 거품경제(버블경제)란? 거품경제, 포말경제또는 버블 경제란 시장에 자산이 전반적으로 과도하게 공급되거나, 특정 자산이 과도하게 공급되거나, 혹은 가치의 명목 수치가 실질가치보다 과도하게 평가 절상 되어 있는 상태로, 이와 관련해 발생한 경제적 부가가치의 상실 현상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자산에 대한 투기가 일어난 현상보다 자산이 과잉공급되었는가와 경기침체의 여부가 중요하며, 이와 관련되어 일어난 경제적 부가가치의 상실 현상을 말한다. 그리고 경기침체가 왔을 때 가장 먼저 침몰하는 것은 경제적 부가가치이며, 과잉공급된 자산가치와 자산의 고립성 및 산개성으로 인해 자산가격의 급격한 하락 혹은 자산시장의 붕괴를 수반한다. 거품경제의 특징으로는, 거품여부는 그것을 뒷받침하는 경제력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가.. 2023. 1.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