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6 커피_바리스타, 바리스타 자격증, 에스프레소의 기본 1. 바리스타 이탈리아어 ‘Mano’는 손을 뜻한다. 이것은 에스프레소 조리사의 전문능력을 가리킨다. 옛 스타일의 커피 제분기에서 정교한 근대 에스프레소 그라인더에 이르기까지의 기술은 에스프레소 조리사(바리스타)의 중요성을 감소시켰다. 하지만 진정한 에스프레소의 커피의 대가인 바리스타는 이런 기술적 매커니즘의 발전과 관계없이 건재하다. 그는 언제 어떻게 손을 사용할지를 아는 사람이자 관찰력과 통찰력을 가진 사람이다. 그의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는 하루 중 어느 때나 일반 에스프레소와 구분되는 최고의 에스프레소를 만들어 주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해서, 영어의 Bartender에 대응하는 이탈리아어로, 이탈리아에서 바리스타는 커피는 물론 칵테일 등의 술도 만드는 역할을 한다. 그에 비해 영어권에서는.. 2023. 1. 27. 커피_커피의 대중화, 세계 3대커피 1. 커피의 대중화 20세기에 들어와서 멜리타 드립 커피, 에스프레소 등이 발명되고, 1930년경에 프렌치프레스, 에스프레소를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모카포트, 이탈리아인들이 미국에 가져간 에스프레소를 현지인들에게 맞춘 아메리카노 등이 탄생한다. 이전까지는 이브릭 같은 터키 커피를 그냥 마시거나, 커피박을 거르기 위해 면보 등을 쓰기도 했었다. 1946년 전후, 커피 추출물을 건조시킨 인스턴트 커피가 등장하여 유럽인이 아닌 다른 국가의 대중들에게도 커피가 친숙해지고 잠을 깨는 대표적인 각성제로서의 역할을 맡게 된다. 이당시의 커피의 인식은 카페인 섭취가 주 목적이었다. 이를 제1의 물결이라고 부른다. 1960년 이후, 스타벅스와 같은 프랜차이즈 카페들이 하나둘씩 생겨나고 강배전된 에스프레소를 이용한 배리.. 2023. 1. 27. 커피_커피머신, 커피 추출방식 1. 커피 머신 커피머신은 ‘에스프레소 커피의 꽃’이다. 그것은 생산과 정제, 로스팅, 블렌딩 등 일련의 복잡하고 까다롭고 번거로운 과정을 거친 커피가 최종적으로 한 잔의 에스프레소 커피로 재탄생하는 과정의 정점에 위치한다. 그것은 지금까지 인간이 개발한 다양한 커피 추출도구들 중에서도 가장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경제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바리스타는 기본적으로 에스프레소 커피의 특성을 알아야 하고, 그 추출 수단인 에스프레소 커피머신의 구조와 작동원리, 관리요령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특히 상업적인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커피전문점과 카페, 레스토랑에 있어서 에스프레소 머신의 비중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커피머신의 효율적인 이용과 관리가 곧 사업의 성패와도 직결될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사용과.. 2023. 1. 27. 커피_커피 그라인딩, 그라인딩의 이해 1. 커피 그라인딩 바리스타는 서비스맨인 동시에 엔지니어가 되어야 한다. 엔지니어는 ‘기계쟁이’만을 지칭하는 개념은 아니다. 어떤 재료나 수단을 잘 다루고 응용함으로써 멋진 결과를 연출하는 능력, 때로는 그 결과를 위한 과정으로서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도 엔지니어적인 영역이다. 그것은 아티스트의 전 단계이다. 아티스트는 이런 엔지니어적인 능력에 창의력과 창조력을 겸비한 사람이다. 훌륭한 연주자는 자신의 악기를 잘 다루는 사람인 동시에 내 몸처럼 잘 보살피는 관리자이기도 하다. 이처럼 바리스타는 기계와 익숙해지고 친해져야 한다. 능숙한 바리스타는 그라인더나 커피머신, 블렌더 등 업소용 기계들을 잘 다룰 뿐만 아니라 내 몸의 일부처럼 여기며 관리할 줄 아는 사람이다. 기계의 모터소리만 들어도 상태를 감지할 수.. 2023. 1. 27. 이전 1 ··· 7 8 9 10 11 12 다음 반응형